incastle의 콩나물
경제성공학 김장호 교수님 수업 (19-1) Decision Making Decisions are based on economic and noneconomic elements What actually happens might be differnt from our estimate, but our goal is to make good estimates The time frame of engineering economy is primarily future four essential elements cash flow times interest rate measure of economic worth for selecting an alternative Time value of Money (화폐의 시간 가치) It e..
ㄷ백준 1110번, if문을 활용해서 더하기 사이클 문제 해결하기 문제 -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있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
문제 정수 N개로 이루어진 수열 A와 정수 X가 주어진다. 이때, A에서 X보다 작은 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n_length,limit_num = map(int, input().split()) n_number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_length): if n_number[i] < limit_num: print(n_number[i], end=' ') 1.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기존에는 a= int(input()) 이런 식으로 사용했었다. 그런데 한 번에 두 개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서 map함수를 사용. 2. list 형태로 받으려면 list로 한 번 감싸줘야 한다. 3. 출력으르 할 때 print( end=' ..
문제 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나의 코드 time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 * {} = {}'.format(time, i, time*i)) format 함수를 사용해서 풀이 다른 사람의 풀이 a = int(input()) x = 1 if a >= 1 an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