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astle의 콩나물

[금융데이터분석] Factor Models :: Part.2 본문

20-2 대학수업/금융데이터분석

[금융데이터분석] Factor Models :: Part.2

incastle 2020. 10. 10. 14:19

Arbitrage Pricing Theory(APT)

더보기

기존의 CAPM에서는 시장 리스크만을 고려했지만 APT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리스크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APM은 적정수익률 = β*(시장수익률-무위험이자율)+무위험이자율 식으로 계산이 되지만 APT에서는 적정수익률 = b1 *(석유수익률)+b2*(철강수익률)+b3*(시장수익률-무위험이자율)+무위험이자율 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CAPM의 베타는 '시장 전체'의 수익률을 고려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 시장수익률을 고려하는 것이 어렵다. 당장 GDP계산만 봐도 가사노동의 가치는 무시되고 있고 코스피 지수같은 것도 비상장기업에 관한 정보는 누락되어 있다. 이런 예를 보면 알겠지만, 전체 시장을 완전히 파악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반면 APT는 위험 요인만을 찾으면 되므로, 예를 들어 주식의 경우 위험요인으로 금리나 알트만 Z-점수 등을 사용해서 주식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출처 :  나무위키)

  • APT의 포인트는 a_i와 b_i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고, arbitrage의 기회는 없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Multifactor Model 

  • multifactore model은 행렬식으로 나타내는 게 더 효율적임

 

Multiple Linear Regression 

  • 여러 개의 factor를 찾기 위해서 regression 사용

 

 

Fama-French Three-Factor Model

  • market factor : excess return on the market
  • size factor(smb, small-minus-big) :  average return on the small portfolios minus the average return on the big portfolios
  • book-to-market equity ratio factor : average return on the value portfolios minus the average return on the growth portfoli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