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astle의 콩나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KTsN/btqEBOVPXiR/tY7eq87wYSF1qsIq7PsAC1/img.png)
8.2 Factor Models Inputs of M-V model n개의 주식이 있을 때, mv모델을 만드려면 n mean value n variance n(n-1)/2 covariances 총 2n+n(n-1)/2 개의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n이 크면 클수록 더 많은 값들이 필요함 Factor Models 여러개의 주식을 아우를 수 있는 어떠한 Factors를 찾으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음 Factor와 개별 mean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Factor model은 asset 간 공분산 구조를 단순화한다. For common stocks, the factors might be the size of a company, gross domestic product (GDP), unemployment rat..
9.1 Responding to Predictable Variablity in a Supply Chain 공급사슬 내의 예측 가능한 변동에 대처 예측 가능한 변동성(Predictable variability) : 예측할 수 있는 수요의 변동 대처법 1) 생산능력, 재고, 하청계약, 부재고를 이용한 공급관리(8장에서 배움) 2) 단기 가격 할인, 거래 판촉을 사용한 수요 관리(9장에서 배움) ** [생산자의 공급관리 + 소매점의 수요관리]로 요약할 수 있음 Managing Supply Managing production capacity(생산 능력 관리) : 예측 가능한 변동성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생산 비용을 줄이는 몇 가지 방법 - 작업시간의 유연성 : 작업시간 늘리거나 줄이기, 2교대~3교대 - 계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laUVF/btqEzZHOdLU/KJlK7aMDb6ztngGETGDyj0/img.png)
8.1 Aggregate Planning and its Role in a Supply Chain 공급사슬에서 총괄계획의 역할 총괄계획 - 특정한 시간 범위에서 능력, 생산, 하청계약, 재고, 재고 부족, 가격 등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 - 단품(SKU) 수준을 결정하기 보다는 총괄적인 수준에서 문제를 푼다. 제약조건(참고) - 초과시간의 한계 - 임시휴직의 한계 - 가용 생산능력의 한계 - 재고부족 혹은 부재고의 한계 총괄계획 수립은 아래와 같은 결정을 내리게 도와준다. - 정규 시간, 초과 시간, 하청계약시간의 생산량 : 작업자의 수와 공급자 구매 수준의 결정에 사용된다. - 재고유지 : 창고공간과(warehouse) 작업 자본의(working capita) 수준의 결정에 사용된다. - 노동력 고용/감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FgVc/btqEdj8TepG/5o7tV8Kl2uVDPuEZn9ugE1/img.png)
Betas of Common Stocks Beta value estimates are typically formed by using past stock values 베타 가치 추정치는 일반적으로 과거 주식 가치를 사용하여 형성됩니다. Unless there are drastic changes in a company’s situation, its beta tends to be relatively stable 회사 상황에 급격한 변화가 없다면 베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generally, aggressive companies or highly leveraged companies have high betas, whereas conservative companies whose performa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