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astle의 콩나물
Derivative Security(파생 상품) 정의 : a security whose payoff is explicitly tied to the value of some other variable (어떤 다른 기초 자산의 가치에 의해서 그 상품의 가치가 정해지는 것) 상환금이 다른 금융 담보의 가격과 명시적으로 연결되어있는 financial security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생 상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 => underlying security(기추 상품, 기초 자산) Derivative product: [I will buy your laptop one year from today] Underlying : laptop Main types of derivative securities: fo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hj2K/btqEGTuD87s/ptrsYL2a6B625NksDoMOw1/img.png)
Single-Factor Model : Portfolios - 이전에는 asset를 설명하는데 single-factor을 썼고, 이번에는 portfolio를 설명하는데 사용해보자. - r_i자리에 기존의 single-factor 모델 공식을 넣고 - 풀면 - 치환해서 보면 결국 r = a+b*f+e이다. - 기존에 에러텀의 기대값은 0이고, uncorrelated학다고 가정했었음 => 포트폴리오도 동일하게 된다. - 포트폴리오 에러텀 e의 variance는 요런식으로 표현됨 - factor model로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설명할 때 위 식이 사용된다. - 가정 : 에러 텀의 variance는 s^2, 모든 주식에 1/n투자 - 분산투자하면(n이 늘어나면) risk가 줄어들어서 좋아지는군~ - 이번에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TXHY/btqEEMwERGZ/sO1TvJMs07LNdqXxXyDNek/img.png)
Reasons for Inventories 재고가 있어야 하는 이유 - 제품 가용성을 높여서 고객 경험을 높이기 위해 - 생산, 구매, 수송에서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위해 - 가격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 - 수요와 lead time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 파업,파업, 화재 및 공급 중단과 같은 비상 사태 (또는 위험)에 대한 방지책 역할 Reasons Against In Inventories 재고가 없어야 하는 이유 - capital resource를 소비한다.(재고를 쌓아둘 돈으로 다른 곳에다가 투자를 한다면..?) - 제품을 졍여뒀다가 제품 quality 문제가 생기면 큰일임 - 재고를 충분히 쌓아두고 공급 사슬 각 단계가 독자적으로 운영 => 서로 배타적 => 공급사슬 협력 X 11.0 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JoPa/btqEE5g9sKo/ADHw10afUP9UFROusdgobK/img.png)
주기 재고 : 공급 사슬의 어떤 단계가 고객이 요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을 생산하거나 주문하기 때문에 공급사슬에 있게 되는 평균 재고이다. 10.1 공급사슬에서 주기재고의 역할 - 협력하기 어려운 이유 => 공급사슬 단계마다 각자의 목적(이윤 추구)가 있거나 공급사슬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정보가 지연되거나 왜곡되서 - 구체적으로, 생산 비용 최소화 vs 판매 비용 최소화로 다투면 큰일난다! - 따라서 협력해야해! Bullwhip effect(채찍 효과) - 전형적인 협력 부족으로 생기는 문제 : 채찍 효과 - 소매 업체에서 도매업 자로, 제조업체에서 공급 업체로 공급망을 이동함에 따라 주문 변동이 증가하는 현상 - 공급망 내에서 수요 정보를 왜곡하며, 각 단계마다 수요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추정치가..